-
우선신호운영Ⅰ-1. 교통시설물/교통신호기 2023. 4. 27. 10:33
1. 우선신호
- 신호가 운영 중인 교차로에 대중교통 또는 소방차, 구급차 등 긴급차량과 같은 특정차량이 교차로를 우선 통과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부여하는 신호운영
2. 우선신호 방식
2-1. 현장제어 방식 (현장제어방식 우선신호시스템)
- 차량 및 교차로에 설치된 통신장치를 통해 차량의 교차로 접근을 확인 > 신호제어기를 통해 우선신호를 부여하는 방식
2-2. 중앙제어방식 (센터간 연계한 중앙제어방식)
- 긴급출동시 요청 경로에 대해 교통정보센터에서 신호 제어
- 인전 도시 간 광역 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, 경찰청과 소방청 센터를 연결하는 센터간 연계 규격 마련을 위해 시범운행
3. 우선신호 적용 대상 및 기준
- 출동통계자료 등에 근거하여 우선신호를 작동할 수 있는 세부 출동기준을 수립
3-1. 화재 출동 기준
- 출동 지연으로 인명·재산 피해가 확대되거나, 2차 사고 및 도로정체를 유발하는 화재(1~3단계)에 해당하는 출동에 우선신호 부여
▲ 화재출동 기준
3-2. 구급출동 기준
- 신속한 응급처치가 생명과 직결되거나, 응급처치 지연으로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구급(1~2단계에 해당하는 출동에 우선신호 부여
▲ 구급출동 기준
4. 우선신호 기법
4-1. 조기녹색시간
- 우선신호가 필요한 대상차량이 적색현시 종료시점 전에 도착할 것으로 예측될 때, 진행현시를 미리 앞당겨 대상차량의 지체시간을 단축하는 방법
진행현시 : 기관사가 신호기를 통과해도 되는 신호 현시
> 상대적으로 현장적용이 용이/ 운전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
4-2. 녹색시간연장
- 우선신호가 필요한 대상차량이 적색현시 시작 후 도착할것으로 예측될 때 진행현시 녹색시간을 차량이 통과할 때까지 연장하여 운영하는 방법
> 우선 신호를 요청한 차량이 진행방향 현시에 가깝게 도착할때 최대한 지체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
상대적으로 현장적용이 용이/ 운전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
4-3. 현시삽입
- 우선신호가 필요한 대상차량이 적색신호에 도착할 것으로 예측될 때 긴급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정도의 시간만큼만 진행현시를 삽입하는 방식
> 주기 내 현시수 증가로 신호교차로 용량 손실 발생 가능 (단점)
현시 : 나타냄. 신호가 그 내용을 표시하는 것
4-4. 현시생략
- 우선신호가 필요한 대상차량이 적색신호에 도착할것으로 예상될 때, 타 방향의 현시를 생략해 우선차량의 진행현시를 제공, 지체를 단축하는 방식 (주로 회전교통량이 많은곳에 적용)
> 타 방향의 현시중 수요가 적은 방향의 현시를 순차적으로 생략하기때문에 지체 단축 효과가 ↑
* 연동축과 같이 한 방향으로 교통량이 집중되는 간선도로 등에서 우선신호 현시 이후 연동방향 현시로 시작할 수 있게 계획시, 옵셋 및 주기를 맞추기 위한 부가 시간을 연동축에 할당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음
4-5. 현시순서변경
- 현시생략과 마찬가지로 우선신호 차량 적색신호 도착 예측시, 이후 제공될 녹색현시와 적색현시를 교환하여 우선차량에 진행현시를 제공하는 방법
> 신호주기 및 현시수를 유지하여 교차로 용량감소가 발생하지 않음 (장점)
> 교차로 용량감소가 적지만, 신호의 순서가 변경됨으로써 일반 차량에 혼동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주기가 유지되지 않아 신호연동이 어려움 (문제점)
5. 우선신호 제어절차
상류부 차량 검지 → 우선신호 제어전략 결정 → 우선신호 제어 → 우선신호 지속여부 결정 → 회복
출처 : 경찰청_정보공개자료실_교통신호기 설치,운영 업무편람 (개정 '23.1.17)
'Ⅰ-1. 교통시설물 > 교통신호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횡단보도 종류 및 설치 기준 (0) 2023.04.27 보행 신호 자동연장 (0) 2023.04.27 신호기 설치기준 및 장소 (0) 2023.04.26 교통신호기의 종류 및 제작 방식 (2) 2023.04.21 교통신호기 (0) 2023.04.21